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Barram's Life
curtail 본문
curtail은 축소하다 또는 감축하다라는 의미로 자주 쓰인다 (reduce in extent or quantity; impose a restriction on). 미국뉴스에서는 소비자들의 제품이나 서비스 소비를 감축시키거나 그 선택 옵션을 감축시킨다는 표현을 할때 많이 쓰였다.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이후에는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규제를 이야기하면서 업무시간 감축, 잘못된 소문 차단 등의 의미로 많이 쓰였다.
Although panned for "bottling a drink readily available from the tap," makers had shrewdly wrung profits out of consumers curtailing their consumption of sugary drinks.
- 해석: (네슬레 (Nestle)와 같은) 생수업자들은 수도꼭지에서 바로 마실 수 있는 물을 병에 담아 파는 것에 엄청난 비난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탕음료섭취를 줄이고자하는 소비자들을 상대로 약삭빠르게 수익을 창출해왔다.
- 출처: https://www.linkedin.com/news/story/bottled-water-profits-are-drying-up-4744316/
- 사견: 생수업자들이 최근 환경단체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는 모양이다. 수도꼭지에서 바로 마실 수 있는 생수를 굳이 일회용 플라스틱병에 담아 판매함으로써 쓸데없는 플라스틱소비를 증가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네슬레와 같은 생수업체들은 약 2.2%의 생수판매 감소를 기록하며 새로운 판매전략수립에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 문장에서 생각보다 어려운 표현들이 많이 쓰였다. panned for은 극심한 비난을 받다(severely criticized for)는 의미로 쓰였다. shrewdly는 약삭빠르게, 기민하게 라는 뜻으로, wrung은 wring의 과거형으로 수익을 쥐어짜내다라는 의미로 쓰이면서 몸에 좋지 않은 설탕음료섭취를 줄이려는 소비자들로부터 약삭빠르게 수익을 짜내고 있는 생수업체들을 비난하는 의미로 쓰였다.
U.S. Vice President Mike Pence on Thursday accused China of curtailing “rights and liberties” in Hong Kong and criticized U.S. company Nike and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for falling in line with Beijing in a disagreement over free speech.
- 해석: 지난 목요일 미국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중국이 홍콩의 권리와 자유를 억압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미국회사인 나이키와 NBA가 베이징 당국과 입장을 같이 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에 반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 출처: Pence backs Hong Kong protests in China speech, slams NBA and Nike | Reuters
- 사견: 2019년 10월, 중국에 무역전쟁을 벌이며 강경책을 고수하던 트럼프행정부는 당시 홍콩 민주화요구에 대한 중국정부의 무력진압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특히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대중국 강경책의 선두에 서서 중국을 압박하기 시작한다. 중국에서 큰 매출을 올리면서 중국정부의 눈치를 보는 일부 미국기업 (나이키와 NBA)의 행보를 비판하면서 미국기업들은 더이상 중국시장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일부 트럼프 측근들은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고려해 중국을 자극할 수 있는 펜스 부통령의 연설을 연기해야 한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결국 실리를 추구하는 기업가 스타일의 대통령과 보수적인 외교노선의 정치원로가 만나 이끌어지고 있는 미국 외교는 어떻게 결말이 날 것인지 계속 흥미롭게 지켜볼 문제이다. 여기에서 curtailing은 억압하다, 감축하다라는 의미로 쓰였으며 falling in line with Beijing은 베이징 당국과 입장을 같이 하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Market leader Netflix has already declared it is examining how to curtail password sharing among family and friends.
- 해석: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넷플릭스는 가족과 친구들 사이에 계정 패스워드 공유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 출처: https://www.linkedin.com/news/story/netflix-and-dont-share-4739532/
- 사견: 케이블TV 시대는 이제 저물어가고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시대가 다가온다. 넷플릭스 (Netflix), 훌루 (Hulu), 아마존 프라임 (Amazon Prime), 디즈니 플러스 (Disney+), 애플 TV 플러스 (Apple TV+), HBO 맥스 (HBO Max), 파라마운트 플러스(Paramount+)까지. 각각 고유 컨텐츠를 가지고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모두 볼 수 있을까? 아마도 모든 비용을 지불하려면 케이블TV에 지불하던 돈보다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할지도 모른다. 소비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저렴한 비용에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과 더불어 아는 친구나 가족들과 계정을 불법(?) 공유하는 이득으로 많은 이들이 케이블 TV를 취소시키고 온라인 스트리밍서비스로 옮겨갔다. 이것을 영어로는 cutting the cord라고 한다. 계정 패스워드를 불법공유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리밍 서비스 회사들이 단속에 나서는 모양새이다. 스트리밍서비스 경쟁에 살아남기 위한 가격경쟁이 벌어지면서 서비스제공자들이 패스워드 공유에 따른 매출손실을 최소화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curtail passward sharing은 패스워드 공유를 통제하다, 감소시키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Juul is reducing its overseas operations, telling staff in South Korea that it may curtail its business there, reports The Wall Street Journal.
- 해석: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쥴(Juul)은 한국사업축소를 한국지사 직원들에게 통보하면서 해외사업축소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 출처: Juul Scales Back Overseas Expansion - WSJ
- 사견: 전자담배 쥴은 새로운 시장개척을 위해 해외사업확장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왔다. 하지만 지난 2020년 1월, 갑작스레 뉴질랜드에서 사업개시를 무기한 연장하고 한국시장에서의 철수를 선언하면서 시장개척전략에 변화가 생긴 듯하다. 미국 내 청소년의 전자담배 사용 (미국에서는 이것을 vaping이라고 한다.)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회사비판이 거세지고 미국 식품의약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FDA)의 강도높은 조사가 이어지면서 성장세가 주춤해지기 시작했다. 아시아지역 시장확대를 모색하던 쥴은 중국, 인도,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인도네시아 등에서 제품판매를 잠시 중단하거나 포기했고 한국시장에서도 정부가 전자담배흡연에 따른 위험성을 경고한 후 소비가 급감하면서 시장철수를 선언했다. 미국 시장내 비판과 FDA 조사에 따른 매출 손실을 해외시장확대로 극복하려던 쥴은 오히려 해외시장에서의 강력한 규제때문에 그 활로가 막힌 모양새이다. 여기에서 curtail in business는 사업을 축소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The new restrictions are an attempt to curtail the practice known as “birth tourism” wherein pregnant women travel to the U.S. to give birth so that their children will gain United States citizenship.
- 해석: 이러한 신규제한은 태어날 아이에게 미국 시민권을 취득시키기 위해 미국으로 "원정출산"을 하러오는 임산부들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
- 출처: Trump administration rolls out new rule to limit 'birth tourism' | Reuters
- 사견: 해외여행이 자유화된 1990년대 이후 한국에서는 소위 '가진 자들' 사이에서 이런 관행이 흔했다. 해외물 먹은 교수, 고위관료, 돈있는 기업인들은 너나할 것 없이 출산일이 다가오는 아내와 며느리를 미국으로 원정출산을 보냈다. 심지어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는 원정출산을 집중적으로 서비스하는 한인브로커와 업체까지 생겨날 정도였다고 한다. 이것은 한국뿐만이 아닌 모든 개발도상국 내 소수의 기득층이 누리던 관행인 듯 하다. 트럼프 행정부는 2020년 1월, 출산을 앞둔 임산부들에게 단기 관광비자 발행을 금지하는 법안을 시행했다. 트럼프 행정부 정책을 개인적으로 지지하지 않았지만 적어도 이러한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은 것은 매우 잘한 것이라 평하고 싶다. 여기에서 curtail은 바로잡다 또는 감축시키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In light of the acceleration of regional outbreaks, our analysts assess that global supply chain disruptions could persist across industries, particularly if countries like South Korea are forced to curtail business operation to contain the virus.
- 해석: 분석가들은 지역 유행병 확산과 더불어 한국과 같은 나라들이 바이러스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사업운영을 감축해야한다면 당분간 글로벌 공급체인 대란이 업종을 가리지않고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출처: 기억안남
- 사견: 2020년 3월 5일, 한국에서 확산하기 시작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여파로 글로벌 공급체인 대란이 일어날 수 있다는 분석가의 전망이다. 당시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중국 본토, 이태리, 한국과 이란지역에 국한된 정도여서 regional outbreak 즉 지역 유행병 (epidemic)이라 칭하고 있었다. 물론 불과 1개월만에 전세계로 퍼져나간 팬데믹 ( Pandemic)이 되어버리고 말았지만... 여기에서 curtail은 바이러스 확산을 차단하기위해 사업운영을 감축한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In light of something은 ~을 고려하여 또는 감안하여라는 뜻으로 쓰였으며 gobal supply chain discruption은 글로벌공급체인 대란으로 번역하였다.
All Polish schools will close starting on Monday to curtail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Poland's Prime Minister Mateusz Morawiecki said, adding that universities, museums and cinemas will be closed.
- 해석: 폴란드 수상 마테우쉬 모라비에스키 (Mateusz Morawiecki)는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오는 월요일부터 모든 학교에 휴교령이 내려질 예정이며 이것은 대학, 박물관, 영화관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 출처: Poland to close schools as of Monday due to coronavirus | Reuters
- 사견: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세로 접어든 2020년 3월 폴란드에서는 전국적으로 휴교령이 내려졌고 공공장소에서의 인원집합이 통제되기 시작했다. 아마도 curtail이라는 단어의 쓰임새는 2020년 3월 이후 코로나바이러스 확산방지를 의미하기 위해 언론상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인 표현이 아닌가 싶다.
WhatsApp is imposing additional restriction on how frequently a message can be shared on its platform in its latest effort to curtail the spread of misinformation.
- 해석: 왓쓰앱 (WhatsApp)은 잘못된 정보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으로 최근 자사의 플랫폼상에서 메세지가 공유되는 빈도를 제한시키고 있다.
- 출처: WhatsApp introduces new limit on message forwards to fight spread of misinformation | TechCrunch
- 사견: 페이스북(Facebook)의 자회사인 왓쓰앱(WhatsApp)은 스카이프 (Skype)과 같이 문자와 보이스메세지를 주고 받을수 있는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다. 최근 페이스북은 가짜뉴스 확산을 막기 위해서 기존에 5명 이상과의 메세지 공유를 제한했던 조치를 취한데 이어 이번에는 5번 이상 포워드 (forward)된 메세지의 경우 오직 한사람에게 단 한번만 포워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한조치를 시행했다. 포워드된 모든 메세지가 가짜 뉴스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최대한 잘못된 정보 확산을 이런 제한조치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 모양이다. 결국 이 메신저서비스 이용자들이 정보시스템을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정보이용윤리문제가 핵심인데 이렇게 메세지 포워드 횟수를 제한하다고 해서 가짜뉴스로 인한 폐해를 바로 잡을 수 있을지 의문점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여기에서 imposing additional restriction은 추가적인 제한조치를 내리다라는 의미로 쓰였으며 curtail the spread of misinformation은 가짜 뉴스확산을 막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The proposals for businesses resuming operations include installing plastic screens in shops between customers and the cash register, advice to curtail hot-desking, and enforcing strict standards of hygiene, according to three people who spoke on condition of anonymity discussing unpublished documents.
- 해석: 비공식문서를 다루고 있는 익명 관계자들에 따르면 사업운영재개에 관련된 제안서에는 고객과 계산대 직원 사이에 차단막을 설치하고 자율좌석제(hot-desking) 감축을 권장하며 철저한 위생관리기준을 시행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 출처: Stagger Shifts and Don’t Share Pens, U.K to Tell Businesses (bloombergquint.com)
- 사견: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봉쇄령과 각종 규제가 하나 둘씩 풀리기 시작하면서 사업운영재개에 관련된 코로나 바이러스 방역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 기사는 2020년 5월 영국 런던에서 나온 기사중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핫데스킹(Hot-desking은 회사가 직원들에게 영구적인 자리 또는 호텔링 (Hoteling)를 통한 자리 예약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이 아닌 필요한 시간과 장소에 따라 직원이 자율적으로 자리를 찾아서 일을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전에는 효율적인 공간사용과 직원들간 네트워킹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어 각광을 받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바이러스 확산방지 대책으로 핫데스킹을 중지하는 권고안이 나오기 시작했다. 여기에서 advice to curtail hot-desking은 핫데스킹을 중지하는 권고안으로 해석했다.
Natural gas companies have warned that customers could lose service, and they have asked businesses and manufacturers to curtail use.
- 해석: 천연가스 회사들은 고객들에 대한 서비스가 중단될 수도 있다고 경고하면서 사업자 및 제조업자들에게 천연가스 사용을 줄여줄 것을 요청했다.
- 출처:
When Will Power Return? ERCOT Explains Need for Prolonged Outages, No Firm Date for Restoration – NBC 5 Dallas-Fort Worth (nbcdfw.com) - Texas deep freeze leaves millions without power, some snowboarding behind pickups | Reuters
- 사견: 2021년 2월 중순 (아마도 2월 16~17일 경으로 기억된다) 휴스턴 지역에는 저기압에서 형성된 진눈깨비 (freezing rain)로 도시가 눈으로 새하얗게 뒤덮였다. 기온은 영하 10도까지 떨어져 휴스턴에 거주한 이래 처음으로 겨울같은 겨울을 경험했다 (아래 내가 포스팅했던 글 링크 참조). 갑작스럽게 다가온 한파에 전기와 가스 사용이 폭증하면서 전기 및 가스 공급이 중단되기 시작했으며 연이어 통신시설 및 물까지 중단되는 사태에 이른다. 텍사스주는 비상사태를 선포했으며 각 가정과 사업장에게 가스 이용을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다. 대부분의 음식점들이 서비스를 중단하고 식료품점에서 생필품 사재기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하면서 추위와 배고픔에 사망하는 사람들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한때 전력공급 차질로 지역주민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 캘리포니아주를 비웃으면서 텍사스주는 그런 일이 없을 거라고 장담하던 정치인들의 표정이 정말 궁금하다. 이 문장에서 curtail은 가스사용을 자제해주라는 의미로 쓰였다.
휴스턴에 내린 눈
휴스턴에 눈이 왔다. 기온 화씨 18도, 섭씨 - 10도의 날씨. 휴스턴에서 15년간 살면서 처음 겪어보는 한파다. 아침 9시경 집앞을 나와보니 동네는 쥐죽은듯이 고요하다. 매서운 칼바람이 얼굴에 부
barram.tistory.com
SB 7, the Texas GOP's priority voting bill, would limit early voting hours, curtail voting options, further clamp down on mail-in voting and expand freedoms for partisan watchers, among several other changes to elections.
- 해석: 미상원법안 제7호는 텍사스주 공화당에서 발의한 새로운 선거법으로 조기 투표(早期投票) 제한 및 유권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투표방법 감축을 골자로 한다. 이 선거법은 우편투표를 엄중히 관리단속하고 각 당에서 나온 투표감사자들의 자유로운 활동을 확대하는 등 기존 투표방법을 바꾸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 출처: Joe Biden criticizes Texas bill that restricts voting hours | The Texas Tribune
- 사견: 2020년 미국대통령 선거에서는 우편선거와 조기투표에 대한 트럼트 전 대통령의 반발로 부정선거 논란이 일면서 결국 2020년 1월 6일,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이 국회의사당을 불법점거하는 사태가 벌어지기에 이른다. 이에 텍사스주에서는 공화당 하원의원들을 중심으로 미국 상원법안 제7호 (SB 7: Senate Bill 7)를 발의하여 우편투표를 엄중히 관리 단속하고 조기투표방법시간대를 제한하며 각당 선거감시단의 자유로운 활동을 확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게 된다. 조지아주와 플로리다주도 이러한 법안을 통과시키며 미국시민의 투표권을 제한할 수 있다는 민주당의 반발을 사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 시대는 미국 헌법의 기반을 흔드는 미국사회의 또다른 변화들을 예고했다. 그 변화들이 앞으로 더욱 보수적인 미국, 자국우선주의에 따른 국제질서의 파괴, 나아가 인류 미래의 향방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참으로 걱정스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된다. 여기에서 GOP는 Grand Old Party의 약자로 미국 공화당을 뜻한다. clamp down은 엄중하게 단속하다라는 의미이며 voting option은 유권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투표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직접 투표장에 가서 투표하는 것이외에 외출을 할 수 없는 노약자 또는 장애자들을 위해 제공되는 우편투표 등의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curtail voting option은 그러한 투표방법들을 제한하다 또는 감축시키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영어표현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음하기 쉽지 않은 영문이름 (0) | 2021.11.29 |
---|---|
Flout (0) | 2021.09.21 |
읽고 싶은 영어원서책 목록 (0) | 2021.08.30 |
로마 숫자 표기 (0) | 2021.08.25 |
ramp something up (or ramp up) (0) | 2021.08.2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