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Barram's Life
Curb 본문
2020년에 가장 많은 쓰인 단어중 하나가 아마도 curb일 것이다. curb는 어떤 행위나 행동을 제한하거나 통제하는 것을 뜻한다(restrain or keep under control). 또한 curb는 일반 도로에서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턱을 의미하는데 여기에서는 방지하다는 의미가 강하다 (keep in check). 감정을 억누르거나 어떤 불법행위를 단속하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동의어가 생각보다 엄청 많은 편이다. restrain, hold back, keep back, hold in, repress, suppress, fight back, bite back, keep in check, check, control, keep under control, rein in, keep a tight rein on, contain, discipline, govern, bridle, tame, subdue, stifle, smother, swallow, choke back, muzzle, silence, muffle, strangle, gag
She promised she would curb her temper.
- 해석: 그녀는 화내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 출처: Google serach of "curb definition"
- 사견: curb라는 단어를 검색하다 구글 사전에서 찾은 예문인 듯 하다. 'curb one's temper'는 화를 참다 또는 감정을 조절하다라는 뜻이다. 예문을 보면 그녀는 화내지 않을 것을 약속했었는데..."라는 표현에서 결국 그녀가 화를 참지 못했다는 여운이 느껴진다. promised라는 과거형과 더불어 she would는 she will의 과거형으로 쓰였으므로 화내지 않을거라고 약속했단말이야! 그런데 그러지 않았어 라는 말을 하기 위해 쓰인 문장인 듯 싶다.
It seems that Twitter’s attempt at curbing abusive behavior has paid off — the social media platform added 5 million new daily users in the second quarter.
- 해석: 트위터의 온라인 폭력 방지를 위한 조치가 효과를 거두는 듯 하다. 지난 2사분기동안 이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신규 일일사용자가 5백만명이상 늘었다.
- 출처: https://www.vox.com/2019/4/16/18410931/twitter-abuse-update-health-technology-harassment
- 사견: 소셜미디어를 통한 온라인 폭력 및 학대행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 회사들은 인공지능 (AI)을 이용하여 온라인 폭력 및 악플을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인공지능이 가질 수 있는 부정적 효과 (예를 들면 인공지능을 관리하는 사람의 선입견이나 가치관이 인공지능에 간접적으로 내재될 수 있는 점)에 대한 우려가 없진 않지만 지금까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 있는 듯 하다. 트위터는 5백만명의 신규 일일사용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도 2019년 12월 초 악플을 금지하는 '설리법(악플 방지법)'이 발의되었지만 아직도 확정되지 못한채 논의중이다. 악플방지법은 인터넷 준실명제를 바탕으로 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법률개정안이라고 한다. 악플과의 전쟁에 대해 정보통신서비스업자들은 어떤 대응을 해야 할지 사례를 보여주는 신문기사이다. 여기에서 curbing은 악플을 방지하는 시도를 표현하는데 쓰였다.
As it attracts more riders even while curbing the number of discounts it offers, Lyft’s price war with Uber is cooling down, says The Wall Street Journal.
- 해석: 월스트리트 저널에 의하면 리프트(Lyft)는 그동안 제공해왔던 가격할인의 횟수를 제한하면서도 여전히 많은 고객을 유치하였으며 이는 우버 (Uber)와의 가격경쟁을 다소 진정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 출처:https://www.linkedin.com/pulse/fedex-breaks-up-amazon-pension-disappearing-act-more-top/
- 사견: 승차 공유서비스는 리프트(Lyft)와 우버(Uber)간의 가격경쟁이 한창 치열하던 때가 있었다. 경영자의 회사운영방법에 대한 논란, 운전기사들에 대한 처후 및 최소임금 갈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우버에게 리프트의 공격적인 마케팅은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왔다. 시장 선도 위치를 놓치지 않기 위해 우버와 리프트 간의 가격경쟁이 일어났고 일단 매출과 유치고객 수를 상당한 증가한 리프트의 승리로 끝났다. 물론 이 상황은 코로나 팬데맥이 일어나기전 2019년 8월의 이야기다. 여기에서 curb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가격할인의 수를 제한하다는 의미를 표현하는데 쓰였다.
This as Juul announced efforts to curb underage sales with a new electronic age-verification system.
- 해석: 쥴(Juul)은 새롭게 개발된 전자 나이확인시스템을 이용하여 미성년자의 (전자담배) 구매를 사전에 방지하고자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 출처: https://www.cbsnews.com/news/juul-labs-announces-id-verification-system-to-curb-underage-e-cigarette-vape-use/#:~:text=Juul%20Labs%20announces%20ID%20verification%20system%20to%20curb%20underage%20e%2Dcigarette%20use&text=The%20CEO%20of%20Juul%20Labs,the%20amount%20customers%20can%20buy.
- 사견: 쥴(Juul)은 미국의 유명한 전자담배회사이다. 2017~2019년에 걸쳐 급성장한 이 회사는 2019년 미성년자의 전자담배 흡연율 (이것을 미국에서는 vaping이라고 한다.)이 증가하자 비난의 포화를 맞는다. 실제 여론조사에서 5명의 고등학생중 1명이 전자담배흡연을 경험했고 20명 중학생중 1명이 전자담배를 경험했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미성년자에게 담배를 판매했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2019년 8월 쥴의 CEO 케빈 번스 (Kevin Burns)는 미국 전역 10,000개의 판매업자들과 협의하여 전자 연령확인시스템을 설치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이 자구책이 비난여론을 잠재울지는 미지수이다. 여기에서 curb는 미성년자를 상대로 한 전자담배 판매를 사전에 방지하고자하는 활동을 설명하기 위해 쓰였다.
The move comes as Facebook has struggled to curb the viral sharing of false information on its service.
- 해석: 페이스북은 자회사 플랫폼에서 바이러스처럼 퍼지고 있는 허위정보 차단에 애를 먹고 있는 가운데 (페이스북 뉴스에 관련된) 새로운 서비스를 발표했다.
- 출처: https://www.cnbc.com/2019/10/25/facebook-news-new-product-will-pay-publishers-highlight-news-stories.html
- 사견: 2019년 10월 페이스북은 회원이 각자가 원하는 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서비스 (a personalized selection of news stories)를 발표했다. 2016년 페이스북이 보수적인 성향의 뉴스피드를 제한한다는 내부고발이 있은 후, 페이스북은 2018년에 최신 유행 뉴스란 (trending news section)을 삭제했었다. 또한 언론의 자유라는 명목아래 허위사실 유포를 방치해온 페이스북의 정책이 비판을 받아온지라 새롭게 제공되는 뉴스 서비스에 많은 시선이 쏠리고 있다. 여기에서 curb를 허위정보를 "차단"한다는 표현을 위해 쓰였다.
To curb the violence and stop the chaos in accordance with the law is still the most important task faced by Hong Kong.
- 해석: 법률에 의거하여 혼란을 멈추고 폭력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현재 홍콩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임무이다.
- 출처:https://www.scmp.com/news/china/article/3036308/chinas-xi-jinping-meets-hong-kongs-leader-affirms-lamshard-work-needed
- 사견: 사우스 차이나 모닝포스트 (South China Morning Post)를 보면 중국관영매체의 어투가 묻어난다. 2019년 8월 홍콩의 민주화 요구시위가 일어나던 무렵 홍콩 행정 장관이었던 캐리람과 중국 주석 시진핑의 회동 소식을 보도하면서 나온 문장이다. 폭력적 시위를 유도하는 정부의 강압적인 분위기와 시위대측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기사에서 형평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독립된 언론기관으로서 역할을 해주지 못하는 기사에 아쉬운 기분이 든다. 여기에서 curb는 폭력적인 시위를 방지한다는 의미로 쓰였다.
Instagram is hiding public "like" counts, Twitter has said it is working to curb harrasment and bullying and Youtube is cracking down on harmful accounts.
- 해석: 인스타그램은 대중에게 공개된 "좋아요" 횟수를 숨기고 트위터는 악플과 괴롭힘을 차단하는데 자구책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튜브 역시 악성컨텐츠를 제공하는 계정을 엄중단속하고 있다.
- 출처: https://www.linkedin.com/news/story/social-media-is-changing-its-ways-5084938/
- 사견: 인터넷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큰 도전에 부딪혔다. 이용자들의 서비스 질 향상과 더불어 사회적 규범을 지키기 위한 컨텐츠 통제에 나섰기 때문이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 사용자들이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통제는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고 자칫 이용고객 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에 기업 입장에서는 상당히 조심스럽게 접근해왔었다. 하지만 온라인 폭력, 악플, 허위정보가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면서 이를 개선해야한다는 요구가 빗발치자 소셜미디어 플랫폼 기업들은 2019년부터 이에 대한 자구책을 내놓기 시작했다.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맞이하여 앞으로 이런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계속 지켜봐야겠다. 여기에서 curb는 온라인 폭력과 악플을 차단하는데 자구책을 찾고 있다는 표현을 위해 쓰였다.
This decision has been taken to curb significant financial losses incurred on the route, exacerbated recently by the ongoing political tensions in Hong Kong,” SAA said in a statement.
- 해석: 사우스 아프리카 항공사(South Africa Airways: SAA) 입장문에 따르면 이 결정은 홍콩에서 진행중인 정치적 긴장이 최근 악화됨으로써 발생한 심각한 재무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내려진 조치라고 밝혔다.
- 출처: http://www.xinhuanet.com/english/2019-11/21/c_138573508.htm
- 사견: 신화통신에서 발표한 기사다. 홍콩 시위대 때문에 생겨난 정치적 긴장때문에 결국 항공사들은 운항편수를 줄이면서 홍콩 경제가 타격이 왔다는 이야기다. 원문을 보면 disruptive strike라는 쓰면서 시위대를 간접적으로 비난했다. 중국 경찰의 시위대 강제 진압은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언론이 통제된 중국의 환경이 다소 아쉽기만 하다. 여기에서 curb는 재무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표현하는데 쓰였다.
More emerging countries will be hit by debt woes in 2020, curbing the returns for the JPMorgan index of dollar-denominated sovereign bonds, the bank’s head of emerging markets research said on Monday.
- 해석: 보다 많은 개발도상국들이 2020년 부채문제에 부딪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것은 JP 모건의 달러화 국체지수 회복에 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지난 월요일 JP 모건 신흥시장 연구 담당자가 밝혔다.
- 출처: https://www.reuters.com/article/uk-emerging-markets-debt-idINKBN1YD25W
- 사견: 2019년 12월 JP 모건에서 다가오는 2020년 신흥시장이 국가 부채 위기를 겪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19년 베네수엘라, 아르젠티나, 레바논 등이 국가부채위기를 겪었지만 그 위기가 국제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했었다. 하지만 홍콩의 복잡한 정치상황과 신흥시장국가들의 어려운 부채상황이 2020년 국제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면서 잠재적 위험이 있다고 본 것이다. 당시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맥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예측이었으며 실제 2020년에는 신흥시장의 국가 파산을 우려하는 국제통화금융기금(IMF)의 발표도 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여기에서 curb는 장애물이 되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Insurers look to curb ransomware exposure as U.S. cyber rates rise.
- 해석: 미국내 사이버 범죄 보험료를 인상함에 따라 보험회사들은 랜섬웨어 위험을 방지할 방법을 모색중이다.
- 출처: https://www.reuters.com/article/us-ransomware-insurance/insurers-look-to-curb-ransomware-exposure-as-u-s-cyber-rates-rise-idUSKBN1ZL1J2
- 사견: 보험회사들이 사이버보험료를 점점 인상하거나 보험공제금액 (deductible)을 늘리는 방법으로 자신의 부담을 줄이려 하고 있다. 이는 최근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액이 점점 증가하면서 랜섬웨어에 대한 위험부담을 보험가입자에게 돌리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가장 최근에 있던 랜덤웨어 피해로는 2020년에 일어난 Travelex 랜섬웨어 사건이 대표적이다. 온라인 여행예약시스템을 마비시켜 Travelex 직원들이 다시 종이와 펜을 들고 예약처리를 해야하는 막대한 불편을 초래했다. 해커들은 6백만달러의 금액을 요구했지만 결국 회사측이 2백30만달러를 지불하는 것으로 이 사태는 마무리되었다. 한국은 랜섬웨어 사고가 없었을까? 어떤 IT 감사 전문가가 최근 세미나에서 한국은 그런 사례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는데 글쎄 그것이 정말 사실일까? 아니면 그런 랜섬웨어 사실을 쉬이쉬이 하며 숨기고 있는 것일까? 여기에서 curb는 랜섬웨어 위험을 방지하다는 의미에서 쓰였다.
Some U.S. carmakers were resuming production in China, where workers began returining after an extended holiday aimed at curbing the outbreak, but other global companies are pulling out of major conferences, including the Mobile World Congress in Barcelona.
- 해석: 몇몇 미국 자동차제조업체들은 코로나확산 방지를 위한 연장휴무일에서 근로자들이 돌아오는 중국공장을 재가동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다른 글로벌 회사들의 경우 주요 행사를 취소시키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이동정보통신 산업전시회 (the Mobile World Congress) 취소이다.
- 출처: https://www.autonews.com/manufacturing/wary-auto-industry-returns-work-china
- 사견: 2020년 2월의 기사이다. 중국의 춘절(春節)이 끝난 직후 코로나바이러스 유행으로 연장휴무일이 이어졌고 그 직후 공장노동자들이 복귀하면서 세계의 공장이 재가동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각종 국제행사가 취소되기 시작하면서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의 심각성이 사람들에게 실제로 체감되기 시작했다. 여기에서 curbing은 대유행 확산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라는 의미로 쓰였다.
The travel industry stands to lose as much as $46 billion a month as the outbreak of coronavirus curbs cross-border travel and halts Chinese tourism abroad, according to the Global Business Travel Association.
- 해석: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이 국제여행을 제한하고 중국인의 해외관광이 중단되면서 여행업계는 매달 460억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고 국제 비즈니스 여행협회(the Global Business Travel Association)는 밝혔다.
- 출처: https://www.linkedin.com/news/story/travel-industry-reels-from-virus-4513331/
- 사견: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의 가장 큰 피해자는 여행 및 관광 업계일 것이다. 이들 서비스업 종사자들은 하루아침에 직장을 잃고 이직을 준비중이며 이에 대한 정부지원으로 상당한 예산이 쓰일 전망이다. 대부분의 회사가 해외출장을 제한하면서 비행기와 호텔업계는 큰 타격을 받았으며 관광수요의 감소로 유명 관광지의 수입이 급감했다. 여행사 역시 큰 타격을 받아 대다수의 군소여행사가 문을 닫는 계기가 되었다. 여기에서 curbs는 국제여행을 제한하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Comments